2016. 10. 27. 10:45
반응형

3-3. 조인 수행 원리


1. NL JOIN


  • NL JOIN은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중첩된 반복문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인을 수행한다.


  • 반복문의 외부에 있는 테이블을 선행 테이블 또는 외부 테이블이라고 하고, 내부에 있는 테이블을 후행 테이블 또는 내부 테이블이라고 한다.


1. 선행 테이블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첫 번째 행을 찾음 ->이때 선행 테이블에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해당 데이터는 필터링 됨


2. 선행 테이블의 조인 키를 가지고 후행 테이블에 조인 키가 존재하는지 찾으러 감 -> 조인 시도


3. 후행 테이블의 인덱스에 선행 테이블의 조인 키가 존재하는지 확인 -> 선행 테이블의 조인 값이 후행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으면 선행 테이블 데이터는 필터링 됨 (더 이상 조인 작업을 진행할 필요 없음)


4. 인덱스에서 추출한 레코드 식별자를 이용하여 후행 테이블을 액세스 -> 인덱스 스캔을 통한 테이블 액세스 후행 테이블에 주어진 조건까지 모두 만족하면 해당 행을 추출 버퍼에 넣음


5. ~ 11. 앞의 작업을 반복 수행함.

2. SORT MERGE JOIN



  • 조인 칼럼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렬하여 조인을 수행한다.


  • 스캔 방식으로 데이터를 읽는다.


  • 정렬할 데이터가 많아 메모리에서 모든 정렬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임시 영역(디스크)을 사용하기 때문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 일반적으로 대량의 조인 작업에서 정렬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경우 CPU 작업 위주로 처리하는 HASH JOIN이 성능상 유리하다.


  • SORT MERGE JOIN은 HASH JOIN과는 달리 동등 조인 뿐만 아니라 비동등 조인에서도 조인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1. 선행 테이블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찾음


2. 선행 테이블의 조인 키를 기준으로 정렬 작업을 수행. 1~2 작업을 선행 테이블의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행에 대해 반복 수행


3. 후행 테이블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찾음


4. 후행 테이블의 조인 키를 기준으로 정렬 작업을 수행. 3~4 작업 반복 수행


5. 정렬된 결과를 이용하여 조인을 수행하며 조인에 성공하면 추출버퍼에 넣음.

3. HASH JOIN


  • 해슁 기법을 이용하여 조인을 수행


  • 조인을 수행할 테이블의 조인 칼럼을 기준으로 해쉬 함수를 수행하여 서로 동일한 해쉬 값을 갖는 것들 사이에서 실제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면서 조인을 수행한다.


1. 선행 테이블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찾음


2. 선행 테이블의 조인 키를 기준으로 해쉬 함수를 적용하여 해쉬 테이블을 생성 -> 조인 칼럼과 SELECT 절에서 필요로 하는 칼럼도 함께 저장됨. 1~2 작업을 선행 테이블의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행에 대해 반복 수행


3. 후행 테이블에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행을 찾음


4. 후행 테이블의 조인 키를 기준으로 해쉬 함수를 적용하여 해당 버킷을 찾음 -> 조인 키를 이용해서 실제 조인될 데이터를 찾음


5. 조인에 성공하면 추출버퍼에 넣음. 3~5 작업을 후행 테이블의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행에 대해서 반복 수행


  • HASH JOIN은 조인 칼럼의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인 칼럼의 인덱스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 해쉬 함수를 이용하여 조인을 수행하기 때문에 '='로 수행하는 조인, 즉 동등 조인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HASH JOIN을 할 때는 결과 행의 수가 적은 테이블을 선행 테이블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출처 : SQL 전문가 가이드 교재


반응형
Posted by AniBumiR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