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10. 25. 14:42
반응형

이클립스에서 톰캣 서버로 JDBC 연동하기~



이클립스에서 DB 연동을 한번 해보겠습니다~


저는 오라클을 사용중이기에 오라클로 연결 할게요~


1. 우선 localhost:8282 톰캣 메인 화면(고양이) 으로 이동합니다~



2. 위 화면의 JDBC DataSources 를 클릭합니다~



3. 저는 오라클을 설치해서 연동하니 4.Oracle 8i, 9i & 10g 를 클릭합니다



4. 위의 블록 부분을 복사를 해 둡니다~


4.1 네모 부분은 본인 pc의 오라클 설치시 서비스ID 를 적어주시면 되요.


저는 xe라고 했기때문에 xe로 수정했어요~



5. 이클립스에서 톰캣 서버의 server.xml 을 엽니다~



6. <GlobalNamaingResources> 태그 안에 붙여넣기를 합니다~



7. context.xml 파일을 엽니다~



8. 종료 태그 위에 아래의 소스를 추가 합니다~


<ResourceLing global="jdbc/myoracle" name="jdbc/myoracle" type="javax.sql.DataSource" />


9. DB 연결할 java 소스를 src 안에 생성합니다~


<소스>

package a.b;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x.naming.Context;

import javax.naming.InitialContext;

import javax.naming.NamingException;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Connection;

public class DBConnection {

public stat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Naming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Context initCtx = new InitialContext();

Context envCtx = (Context) initCtx.lookup("java:comp/env");

DataSource ds = (DataSource) envCtx.lookup("jdbc/myoracle");

Connection conn = ds.getConnection();

return conn;

}

}


10. 오라클의 jdbc jar 파일을 프로젝트에 import 합니다~


이때 jar 파일을 build path 에 추가하는 방법과 WEB-INF 의 lib 에 추가 하는 방법이 있어요.


저는 lib 폴더에 추가하겠습니다~



11. 접속 테스트를 할 jsp 파일을 간단하게 만들어서 테스트 합니다~


<소스>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pageEncoding="UTF-8"%>

<%@ page import="a.b.DBConnection" %>

<%@ page import="java.sq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style type="text/css">

td { border : 1 solid navy;

text-align:center;

}

</style></head>

<body><table><tr><td>ID<td>PW<td>ADDR<td>TEL</tr>

<%

Connection conn=DBConnection.getConnection();

String all="select * from member";

PreparedStatement allStmt=conn.prepareStatement(all);

ResultSet rs=allStmt.executeQuery();

String sql="";

while(rs.next()){

sql+="<tr><td>"+rs.getString("id");

sql+="<td>"+rs.getString("pw");

sql+="<td>"+rs.getString("addr");

sql+="<td>"+rs.getString("tel")+"</tr>";

}

out.println(sql);

%>

</table>

</body>

</html>


위의 소스는 scott 계정에 'member' 라는 테스트 테이블을 생성 해 id, pw, addr, tel 이라는 column 에 값을 넣어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위와 같이 진행 해서 jsp 파일을 웹에서 실행했을 때 DB에 있는 정보가 테이블에 뿌려지면 성공~ 입니다~


반응형
Posted by AniBumiRami
2016. 10. 25. 12:29
반응형

이클립스에서 톰캣 서버를 연동하기~



이번에는 설치된 톰캣 서버랑 이클립스랑 연동하는법을 해보겠습니다~


1. 이클립스에서 하단의 Servers 에서 new server 추가를 합니다.



저는 이미 설치를 했지만 빨간색 동그라미 부분에 추가 할 수 있어요


그리고 이미 설치를 했더라고 우클릭 > new 를 통해서 새로운 서버를 설치 할 수 있습니다~


2. NEW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은 새로운 서버를 설정하는 창이 뜹니다.


여기서 본인이 설치한 톰캣 서버 버전을 확인 후 Finish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3. 추가 설정사항이 있어요~


설치된 서버를 더블클릭 합니다~



4. 더블클릭을 하면 아래 화면이 뜨는데 여기에서 변경해줘야 하는 부분이 2군데가 있어요.



4.1 첫번째 체크 부분을 가운데로 설정 하고

4.2 Deploy path 를 Tomcat 의 프로젝트가 저장되는 폴더 이름인 'webapps'로 변경하고 저장을 합니다.


5. 이제 톰캣 서버에 작업한 프로젝트를 배포 하면 됩니다.



5.1 서버에서 우클릭 > Add and Remove... 로 들어가서 배포할 프로젝트를 Add 해주면 됩니다.



여기까지 이클립스에서 톰캣 서버를 연동하고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AniBumiRami
2016. 10. 24. 16:34
반응형

Tomcat Manager App 로그인 설정하기~



톰캣을 설치할 때 optional 에서 username과 password를 설정을 하셨다면


이번 포스팅 첫번째 스샷에서 바로 설정한 id와 pw로 로그인 하면 됩니다~


만약 저처럼 설치시 username 과 password를 설정 하지 않으셨다면


저를 따라오시지요...ㅎ


1. 먼저 본인의 톰캣 메인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일명 고양이화면)


http://localhost:8282


2. 상단 우측에 Manager App 를 클릭합니다.


3. 로그인 창에서 설정하신 id와 pw가 있으면 바로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저희는 현재 설정한 정보가 없으니 '취소'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다음과 같은 창이 뜨는걸 확인합니다.


5. 빨간 박스안의 내용을 복사해서 화살표의 conf/tomcat-users.xml


파일로 가서 붙여넣기 합니다~


이때 username="tomcat" password="s3cret" 라고 된 부분을 수정해서


붙여넣으면 본인의 manager app의 id와 pw가 되게 됩니다.



6. 위의 내용을 추가 한 뒤 저장 하고 다시 톰캣 메인화면으로 가서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 성공 할 경우 다음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상으로 톰캣 매니저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AniBumiRami